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알파 센타우리

밤하늘을 쳐다보면 반짝반짝 빛나는 수없이 많은 별이 있다.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 바로 별인데 별이 모여서 은하를 이루고 그런 은하가 무리를 지어서 우주가 된다. 별이란 수소가 핵융합하여 헬륨이 되는 핵융합 원자로인데 그때 생긴 질량의 차이 때문에 막대한 에너지가 발생하여 빛과 열을 내는 천체다.     별은 보통 한 개의 독립적인 별도 있지만 두 개나 세 개 이상의 별이 서로의 중력에 얽혀 마치 하나의 별처럼 행동하는 것도 많다. 예를 들어 우리가 속한 별인 태양은 홑별, 즉 별 하나로 이루어진 항성계이다. 항성계라고 하는 이유는 멀리서 보면 그냥 하나의 별로 보이지만 가까이서 관찰하면 그 별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이 있고 각각의 행성은 위성을 갖기도 하기 때문이다. 태양을 멀리서 보면 그저 반짝이는 별 하나로 보이지만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이 8개나 있고 또 그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도 있는데 행성인 지구에는 달이란 위성이 하나 있지만, 화성에는 2개, 목성의 위성은 67개, 그리고 토성에는 무려 145개의 위성이 있다. 그러나 중심에 있는 별이 너무 크고 밝기 때문에 조금만 멀리서 태양을 봐도 그저 반짝이는 작은 별로 보일 뿐이다.   우리의 별인 태양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별이 알파 센타우리다. 태양은 홑별이지만, 알파 센타우리는 별 세 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를 삼중성계라고 한다. 세 개의 별이 서로의 중력에 의해서 묶여 있다. 태양에서 제일 가까운 별인데도 태양 빛이 알파 센타우리까지 가는데 무려 4년 4개월이나 걸린다. 지금까지 근 50년을 날아서 막 태양을 빠져나간 보이저 1호가 알파 센타우리까지 가려면 수만 년이 걸릴 것으로 추측한다.     우리 은하에는 태양이나 알파 센타우리와 같은 별이 4천억 개나 있다. 별이 그렇게나 많은데 그중 태양과 가장 가깝다는 이웃 별인 알파 센타우리까지 빛의 속도로 4년이 넘게 걸린다니 입이 쩍 벌어진다. 그러므로 지금의 과학 기술 수준으로 별과 별 사이를 여행한다는 것은 100% 불가능하다. 우리 별 태양을 벗어나는 데만 반백 년이 걸렸는데 수만 년 걸려 다른 별까지 간다는 것은 상상을 초월한다.   알파 센타우리는 별 세 개로 이루어져 있는 삼중성계라고 했다. 각별의 이름은 알파 센타우리 A 별, 알파 센타우리 B 별, 그리고 알파 센타우리 C 별(=프록시마 센타우리)이라고 한다. A와 B는 밝은 별인데 지구에서 보면 두 별이 구분되지 않고 마치 밝게 빛나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며 밤하늘에서 세 번째로 밝게 빛난다. 맨눈에는 보이지 않던 C 별은 나중에 발견되었는데 세 별 중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이다. 약 10년 전 알파 센타우리 C 별을 공전하는 행성 중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있는 행성을 발견해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영화 아바타는 알파 센타우리의 행성 중 하나를 공전하는 위성이 그 무대였다.   프록시마 센타우리를 공전하는 행성의 존재를 처음으로 찾아냈을 때 액체 상태의 물이 있어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했다. 프록시마 센타우리 b라고 이름 지어진 그 행성은 지구처럼 암석형 행성인데 중심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를 공전하는데 우리 시간으로 약 11.2일 걸린다. 생명체 존재 여부를 떠나서 태양과 가장 가까운 이웃 별이어서 우리의 관심을 끈다. (작가)   박종진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센타우리 알파 알파 센타우리 프록시마 센타우리 행성 주위

2024-12-06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위성

우주는 별로 이루어져 있다. 별은 한자로 항성(恒星, star)이라고 하며 그런 별이 수천억 개씩 무리 지은 것을 은하(galaxy)라고 한다. 특히 우리의 별인 태양이 속한 은하를 은하수(Milky Way)라고 하는데 그런 은하가 약 2조 개가 모여서 우주(Universe)가 된다니 참 놀랍다.   별이란 핵융합을 하여 빛과 열을 내는 천체를 말한다. 우리가 아는 별 중에서 가장 친숙한 것이 바로 태양인데 만약 북극성 근처에서 태양을 본다면 밤하늘의 여느 별처럼 반짝거리는 작은 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런 별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를 행성((行星, planet)이라고 하는데 태양의 경우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총 여덟 행성이 공전하고 있다. 맨 외곽을 돌던 명왕성은 2006년에 왜행성으로 분류되어 제외되었다.   위성(衛星, satelite)이란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를 말한다. 그러므로 위성은 행성 주위를 돌고, 행성은 항성을 공전한다. 우리가 사는 지구의 예를 들면, 달은 지구를 돌고, 지구는 태양을 공전한다. 태양과 같은 별들이 수천억 개가 모여서 은하가 되고, 그런 은하가 약 2조 개가 모여서 비로소 우주를 이룬다.     태양을 가장 가깝게 도는 수성과 금성에는 위성이 없다. 그 다음 궤도를 도는 지구에는 달이라는 이름의 위성이 단 하나 있다. 달은 위성이기에는 그 덩치가 너무 커서 어떻게 보면 한 쌍의 행성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달은 지구의 위성이 맞다.     지구 바깥쪽을 도는 화성에는 위성이 두 개 있다. 태양계에서 가장 덩치가 큰 목성에는 총 95개나 되는 위성이 돌고 있는데 지구의 위성인 달 말고 다른 행성에서 발견된 최초의 위성이 목성 바로 곁을 공전하는 4개의 위성으로 망원경 성능을 높인 갈릴레이가 발견한 까닭에 갈릴레이 위성이라고 부른다.     그 다음 궤도의 토성 주위에는 무려 145개의 위성이 돌고 있다. 이 정도쯤 되면 일일이 이름 붙이기도 힘들어진다. 2019년에 토성의 위성 20개가 한꺼번에 발견되더니, 2023년 2월에 목성의 위성 12개가 새로 추가되었다가 2023년 5월에 다시 토성의 위성이 62개나 무더기로 발견되었다.     태양계의 외곽을 공전하는 천왕성에는 27개의 위성이 있고, 마지막 행성인 해왕성에는 14개의 위성이 공전한다. 게다가 왜행성이나 소행성을 공전하는 위성도 확인되고 있는데 가장 작은 것은 지름이 45m에 불과한 것도 있다.   태양계가 형성되던 초기, 중심에 태양이 자리를 잡고 그 주위에 태양을 공전하는 원시 행성들이 생겼다. 그리고 남은 물질이 태양풍에 밀려 멀어지면서 근처에 있던 행성의 중력에 붙잡혀 만들어진 것이 위성이다. 따라서 태양에 가까운 행성의 경우에는 빠른 속도로 지나치는 먼지를 많이 놓치게 되므로 당연히 위성 수가 적고, 태양에서 먼 행성일수록 곁을 지나는 먼지의 속도가 줄어들어서 행성의 중력에 포획되기 쉬운 까닭에 위성의 숫자가 많다.     그런 까닭에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수성과 금성에는 위성이 아예 없고,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목성과 토성은 많은 위성을 가지게 되었다. 물론 목성과 토성은 큰 덩치에서 생긴 강한 중력이 주변을 지나치는 물질을 많이 붙잡을 수 있었다. (작가)   박종진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위성 위성 20개 위성 12개 행성 주위

2023-07-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